유럽 문화의 선도국이 된 과정
17세기가 시작되며 프랑스는 새로운 왕을 맞이하게 됩니다. 루이 13세는 10살에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어린 나이로 인해 주변의 견제, 내부적인 정치싸움, 외부적 침략에 쉽게 노출이 되어 왕권이 무너지기 쉽기에 국가적으로 힘든 상황이었습니다. 유럽의 영주들의 힘이 강한 시대인 중세 봉건 사회가 저물어가며 중앙에 있는 왕의 권력이 강해져야 하는 시기였습니다. 중세 봉건 사회에서 근세 중앙집권 국가로 넘어가며 왕권을 강화할 필요가 있었는데 리슐리외라는 재상이 큰 역할을 맡게 되었습니다. 루이 13세 옆에서 중앙집권적인 전제군주 국가의 완성을 정치적인 목표로 삼았습니다. 왕의 의견에 반대하는 귀족들을 묵살하고 왕을 중심으로 강력한 국가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했던 것 중 하나가 사치였습니다. 국가와 왕가의 부유함을 과시하기 위해 왕가에서 품격 있고 수준 높은 사치를 즐기며 귀족들이나 주변 왕가의 동경심을 유발했습니다. 실제로 왕가의 결혼식은 당대 예술 자원을 총동원하여 온갖 화려한 장식으로 건물을 꾸며 각국의 귀빈들을 모셔 대하게 열었다고 합니다. 심리적으로도 압도합니다.
루이 13세의 아들인 루이 14세에 들어서 절정에 달합니다. 중세 봉건사회의 잔재를 청산하며 절대왕정을 완성하게 됩니다. 루이 14세는 왕권을 신으로부터 받았다고 주장하며 태양왕이라고 불릴 정도로 강력한 왕이 됩니다. 루이 14세는 상대적으로 약해진 귀족들을 왕궁에 거주하며 온갖 사치스러운 생활을 누리도록 전략을 세웠습니다. 왕권의 핵심인 사치를 통해 분노와 자아를 멸합니다. 사치 생활을 즐기던 왕궁이 그 유명한 베르사유 궁전입니다. 베르사유 궁전은 규모가 경복궁보다 18배나 크며, 가이드가 없으면 길을 잃어버릴 정도라고 합니다. 외부의 규모와 내부의 호화스러움에 심리적인 위축을 갖게 하며, 건물 내부에 있는 모든 구조가 위계질서에 따라 배치 및 설계되었습니다. 베르사유 궁전은 절대왕정을 상징하는 건축물로 각국의 귀빈들의 정치와 사교, 문화와 예술의 중심이 되면서 프랑스가 유럽 문화의 선도국으로 도약하는 기점을 만든 장소이기도 합니다.
명품패션의 등장
왕가가 입고 있는 패션은 각국의 왕족이나 귀족들이 따라 하는 문화로 번집니다. 루이 14세가 절대왕정을 완성하기 위해 콜베르라는 재상이 지대한 도움을 주었습니다. 유럽의 중세에서 근세로 넘어가는 과정에 정치적으로는 절대군주제를, 경제적으로는 중상주의 정책을 펼쳤습니다. 중상주의는 상업과 산업을 중시하는 정책으로 자국 상품을 보호하기 위해 수입 상품을 막는 보호무역을 진행하고, 자국의 산업을 육성하여 무역수지 흑자 극대화에 노력했습니다. 이를 통해 프랑스는 상당한 부를 쌓고 왕권을 유지하는 경제력 기반이 마련됐습니다.
콜베르는 또한 섬유와 직물에 집중한 패션 산업도 주도했습니다. 왕가가 주도하던 패션에 잠재 가치를 미리 알아보고 산업으로 키우기로 작심하여 상품을 저가에 판매하는 가격 경쟁이 아닌, 최상의 상품을 고가에 판매하는 품질 경쟁을 통해 훗날 명품이라는 개념으로 발전하게 되면서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하게 됩니다. 최상의 상품을 만들기 위해 국가가 철처히 품질을 관리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각종 법률이나 제도를 수립하고 품질 인증 마크도 생성하여 장인들의 길드까지 직접 통제하였습니다. 불량품 판매 적발 시에는 엄벌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정책을 통해 LVMH 회장이 세계 최고 부자가 될 수 있었으며, 프랑스의 명품 기업들이 콜베르의 사상을 이어받아 콜베르 위원회를 운영하며 프랑스 명품의 가치를 보호하는 일들을 하고 있습니다. 루이 14세의 절대왕정은 오래 지속되지 못했으며, 15세에는 무너지기 시작합니다. 루이 14세 시절의 왕궁 생활은 위계질서를 위한 격식이 강요되는 사치로 인하여 귀족들이 격식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욕망을 표출하게 됩니다. 해방감과 자유, 쾌락을 추구하는 퇴폐적이고 화려한 로코코 양식 패션이 유행합니다. 허리는 조이고 가슴은 모아주며 상체 몸매를 부각하는 역할, 하체는 파니에라는 보정 속옷을 입어 치마를 크게 부풀리면서 골반을 강조한 당시 프랑스 여성들의 패션으로 그 유명한 코르셋이 이때 등장합니다. 로코코 양식을 선도했던 사람 중 한명이 바로 그 유명한 마리 앙뚜아네뜨입니다.
프랑스의 국가 위상
명품은 프랑스라는 세계적인 인식이 있는데 이는 국가 브랜드를 제고하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프랑스 제품이라면 고급스러운 느낌에 고가여도 망설임 없이 구매합니다. 이는 국가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강력한 힘입니다. 국가 브랜드를 제고하기 위해 프랑스는 오랫동안 국가에서 주도적으로 패션과 명품, 사치재 산업을 육성해 왔습니다. 콜베르가 중앙에서 철처하게 품질을 관리한 것, 명품의 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여러 가지 법률이나 제도를 수립한 것, 디자인을 보호하는 법을 최초로 만들어 상표를 처음으로 제도화 한 것, 덕분에 프랑스의 명품 가치 유지가 가능했으며, 고급화를 통해 국가 브랜드 품격이 높아졌습니다.
시대적인 상황은 우리의 정신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예술에도 드러나게 됩니다. 프랑스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시대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예술 기조를 선도해왔고 풍부한 경험과 안목, 기술 제도와 인프라, 역사를 통해 장기간 축적해왔습니다. 프랑스가 문화와 예술의 강국으로 발전하며 패션 강국이 되는 기반이 되기도 했습니다. 결과적으로 문화 예술이 강하고 국가가 정책적으로 명품 산업을 육성하고 법률과 제도를 선도했기에 프랑스가 명품의 나라가 될 수 있었습니다.
'호기심가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톰브라운, 무명에서 명품으로 (0) | 2023.01.31 |
---|---|
LVMH, 명품 중의 명품 기업 (0) | 2023.01.30 |
프랑스, 문화·예술의 강국 (0) | 2023.01.28 |
일론 머스크, 트위터 인수로 산만해진 테슬라 (0) | 2023.01.27 |
사우디의 꿈의 도시, 네옴시티(NEOM CITY) (0) | 2023.01.23 |